"경북도청 터 활용해 지역발전 일으킬 수 있는 고민 필요"

경북도청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대구시 신청사 유치 열기가 커지는 가운데 북구청이 제시한 옛 경북도청 터에 대해서 국가가 나서서 신청사가 아닌 대구경제를 살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30일 자유한국당 대구시당과 대구시가 개최한 내년도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곽대훈 의원은 “경북도청 터를 활용해 지역발전을 일으킬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할 때이다”며 도청터에 대해서 신청사 건립보다 개발에 대한 검토를 언급했다. 

북구청의 신청사 유치 신청에서 경북도청 터에 신청사를 건립하겠다는 내용이 나온 뒤 타 지역은 물론 북구 지역민들 사이에서도 “경북도청에 왜 시청을 짓겠다는 거냐”는 반발이 나왔다. 한 북구민은 청와대 국민청원에 “경북도청 터에 신청사 건립을 반대한다.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곳으로 정부가 나서서 개발해 달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미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7년 경북도청 터의 개발사업으로 ‘문화·기술·경제 융합형 도시혁신지구’로 개발한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 또 정부는 2018년 도청부지 매입 관련 계약금(211억원)을 배정했을 때, 대구시 신청사 건립을 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받고 국비를 반영한 바 있다. 

정부의 계획까지 나와 있는 마당에 대구시 역시 광주에 들어선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거대 프로젝트를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크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옛 전남도청이 있던 자리에 들어선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전남도청은 지난 2005년 11월 광주 동구에서 전남 무안으로 이전했다. 이로 인해 광주 동구 지역에는 이로 인해 도심 공동화 현상이 생겼다. 각종 기관도 따라 가면서 인구가 줄어들고, 충장로·금남로 상권이 유례없는 침체를 거듭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건설사업이 나왔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건설은 참여정부 공약으로 시작돼 2023년까지 모두 5조 3,000억원이 투자된다.

그 사업의 첫 결실은 아시아문화전당이 옛 전남도청 부지와 뒤편, 그리고 건너편 부지에 들어선 것. 아시아문화전당의 부지 면적은 13만5천㎡이며 연면적은 16만1천237㎡로 국립중앙박물관(13만7천290㎡) 보다 넓은 국내 최대 규모의 문화시설이다. 

주요 시설은 ▶예술극장 ▶문화창조원 ▶민주평화교류원 ▶문화정보원 ▶어린이문화원 등 5개가 있으며 공연장과 전시관, 도서관, 광장 등도 있다. 광주시의 끈질긴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아시아문화전당은 개관 4년을 맞이했고 광주의 랜드마크로 거듭났다.

광주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구시가 경북도청 터 개발에 대해서 정부에게 적극적으로 어필을 해야 하지만 오히려 가만히 있는 상황이다. 오히려 경북도청 터 개발에 대해서 신청사 건립을 고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대구시와 비슷한 상황을 최근 맞이한 대전시는 적극적으로 도청 후적지 개발에 나서고 있다. 대전시는 중구에 위치했던 옛 충남도청이 2012년 충남 홍성군으로 이전한 뒤 도심 공동화 해결을 위해 최근 시민을 위한 곳으로 개발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앞서 대전시는 올 4월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민관합동위원회’를 발족했다. 대전시는 “대전의 80년 역사가 깃든 도청사를 잘 가꾸고 재단장해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기 위해 위원회를 발족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8월 위원회는 근대문화 유산인 옛 충남도청사를 본관은 보존하고 내부는 신개념 문화공간으로 꾸미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의회동과 신관동은 소셜 벤처 창업플랫폼과 지역거점별 소통협력 공간 등으로 만들기로 했다. 

이 같은 대전시의 노력에 비해 대구시는 경북도청 이전터 개발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단순히 부지 매입 예산을 받아내려는 움직임만 보이고 있는 것.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도청 터에 신청사를 건립하려면 도청 터에 대해서 어떠한 개발 계획을 만들거나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무엇을 하겠다고 정해뒀는데 갑자기 신청사를 짓는다고는 할 수 없지 않느냐”고 평가하고 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