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했던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의 지명을 최근 철회했다. 동시에 여성가족부 장관으로는 강선우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이 줄곧 강조해 온 ‘공정’과 ‘약자의 정부’라는 슬로건과는 동떨어진 인사 행보다.

이진숙 전 총장은 충남대 총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하지만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을 받아오면서 일부 시민단체와 야권 인사들의 반발 속에 청와대는 지명 철회를 택했다. 또한, 강선우 전 의원은 과거 국회의원 시절 보좌진에게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하거나 사적인 지시를 내리는 등 ‘갑질’ 논란에 휘말렸던 인물이다. 본인도 이를 시인하며 사과한 바 있다.

문제는 여가부가 약자와 소수자를 대변해야 할 부처라는 점이다. 그런 부처의 수장으로, 과거 권한을 남용한 전력이 있는 인사를 내세우는 것이 과연 대통령이 말하는 '약자의 편'에 서는 인사인가.

여권 내부에서도 비판을 받았던 강 전 의원은 오히려 장관 기용이 추진되는 상황이다. 국민들은 이 같은 인선에서 ‘공정’이나 ‘일관된 기준’을 찾기 어렵다고 느낄 것이다.

공정과 정의는 단지 말이 아니라 실천이어야 한다. 특히 고위 공직자 인사는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대변하는 거울이다. ‘내로남불’식 인사는 결국 대통령 스스로가 공언한 가치마저 무너뜨릴 수 있다.

이 대통령이 진정으로 약자의 정부를 만들고 싶다면, 약자에게 갑질한 인물이 아니라 약자를 섬길 줄 아는 인물을 장관에 앉혀야 한다. 그것이 국민을 향한 최소한의 도리이자, 국정 철학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