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이승욱 기자=지난 2021년부터 올해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산하기관들은 총 6건의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발표된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다양한 기관에서 개인정보 유출 및 서버 문제와 같은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3월, 문체부 소속 영화진흥위원회의 한국영화해외진출플랫폼 중문 홈페이지에서 357건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해킹되어 유출된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해킹 사건은 지난해 세 건이 추가로 보고되었다.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에서는 '온라인 투고 시스템'에서 879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는 재학생과 졸업생 관련 1만8천690건의 개인정보가 탈취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은 디도스(DDoS) 공격을 받아 홈페이지 서버의 기능이 중단되는 사태를 겪었다.
문체부와 각 산하기관의 유튜브 채널명과 홈페이지 메인 화면이 해킹으로 변조된 경우도 있었다. 지난해, 문체부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관광공사는 해커가 유튜브 채널명을 변경하는 피해를 입었다. 2021년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홈페이지 서버가 해킹되어 메인화면이 변조되면서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고도 있었다.
진종오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연관 기관들이 해킹 표적이 됐다는 것은 국민의 문화와 일상이 위협받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문체부에 보안 관리 의무 강화를 촉구했다. 아울러, 해킹 방지를 위한 제도의 체계적인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체부 측은 "이미 발생한 해킹 사례의 피해자들에게는 피해 사실을 통보하여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해 보안 관련 지침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