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청년층의 신규 채용 일자리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연합뉴스
2030세대 청년층의 신규 채용 일자리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연합뉴스

[공감신문] 이승욱 기자=2030세대 청년층의 신규 채용 일자리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국가통계포털(KOSIS)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청년층의 임금근로 신규 채용은 240만8천개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만6천개가 감소했다. 이는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최근 2분기 동안 청년층의 신규 채용은 2018년 285만6천개에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왔다. 특히 대졸자를 포함한 20대 이하의 신규 채용은 137만개로 집계되며, 작년 2분기 대비 8만4천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30대의 신규 채용 역시 3만2천개 줄어든 103만8천개에 그쳤다.

신규 채용 일자리는 기업의 사업 확장 또는 신설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수를 의미하며, 최근 감소세는 기업들이 기존 인력을 유지하면서도 추가 채용을 꺼린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는 최근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 특히 미국의 관세 장벽 등 외부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신규 일자리가 크게 감소했다. 30대 이하의 청년층에서 건설업 일자리는 전년 대비 3만2천개 줄어들었으며, 제조업에서도 47만6천개에서 42만8천개로 4만8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신규 채용 감소분의 약 70%는 이러한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발생한 것이다.

청년층 고용 감소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인공지능(AI)의 점진적 도입과 정치권에서 추진중인 정년 연장 법안이 청년층의 고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해 대책을 마련 중이나, 즉각적인 해결책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 기획재정부는 일자리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논의 중이다. 청년층의 고용 부진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추후 경제 성장 전략에 반영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