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부산에서 한 고등학생이 응급실을 찾지 못한 채 구급차 안에서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소방노조가 소방서의 대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연합뉴스
지난달 부산에서 한 고등학생이 응급실을 찾지 못한 채 구급차 안에서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소방노조가 소방서의 대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연합뉴스

[공감신문] 정재은 기자=지난달 부산에서 한 고등학생이 응급실을 찾지 못한 채 구급차 안에서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소방노조가 소방서의 대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소방노조는 소방서가 기존의 출동과 이송 기능을 넘어 '소방응급의학센터'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소방을사랑하는공무원노동조합는 24일 성명서를 통해 이번 사건이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붕괴된 응급의료 체계가 초래한 '예고된 참사'라고 지적했다. 병원 14곳에서 연이어 거절당하는 동안 구급대원이 느꼈을 무력감과 고의적으로 구조할 수 없는 상황을 회상하면서, 소방 구급대원들에게 남겨진 정신적 고통에 대해 경고했다.

소방노조는 향후 소방서가 단순히 환자를 이송하는 역할을 넘어서, 긴급 상황 발생 시 초동 응급 진료와 처치까지 제공할 수 있는 '소방응급의학센터'로 변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립소방의과대학을 설립해 소방응급의학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소방 노조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의 필수 진료과목에 특화된 소방 전문 인력을 양성해, 이들을 소방응급의학센터에 배치함으로써 국민의 생명을 책임지는 전담 주치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0일 오전 6시 16분경 부산의 고등학교 인근 도로 위에서 발작 증세를 보였던 고등학교 3학년 학생 A군은 여러 병원으로부터 이송 거절을 당한 후 구급차 안에서 1시간 이상 대기하다 결국 숨졌다. 이 사건은 '응급실 뺑뺑이'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의료계에서는 A군이 이송된 후 외상 흔적이 있었다는 사실을 들어, 구급대원의 대처 미흡을 문제 삼으며 책임 공방이 격화되기도 했다. 바른의료연구소는 이번 사고의 실질적인 원인이 구급 대원의 판단 착오와 소방 구급 시스템의 부재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