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이혜정 기자=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는 지난 10년간 포스코에서 발생한 주요 사망사고의 상당수가 하청 노동자에게 집중됐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포스코가 위험한 업무를 외주화함으로써 안전 대책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5년까지 포스코 사업장에서 발생한 인명사고로 57명이 사망하고 32명이 부상을 입었다. 특히 사망자 57명 중 50명은 하청 및 외주업체, 그리고 계열사 소속으로, 이는 전체의 약 88%에 해당한다. 사망자 수를 보면, 2016년 12명, 2018년 7명, 2022년 5명, 올해 5명 등이 모두 하청 및 외주 소속이었다.
올해 3월 21일 포항제철소에서 포스코PR테크 직원이 설비에 끼여 숨진 사건을 비롯해, 7월 14일 광양제철소에서 배관 철거작업 중 2명의 작업자가 추락하여 1명이 사망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달 20일에는 포항제철소의 STS 4제강공장에서 작업 중이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포스코 직원 1명이 유해가스를 마셔 중태에 빠지는 사건도 보고됐다. 이때 구조 작업을 하던 포스코 소방대 팀원 3명도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민주노총 포항지부와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포스코 본사에서 회견을 열어 안전 조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가스 측정 장비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지침이 미비하다고 주장, 포스코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신명균 금속노조 포항지부장은 포스코 내 불법파견 문제를 지적하며, 이러한 인력 고용 방식을 멈추고 직고용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요구했다. 나아가 제철소의 노후된 설비와 배관을 전면 진단하고 이를 개선할 실행 방안을 마련할 것을 포스코에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