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정재은 기자=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 한국은행, 국민연금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협력에 나선다. 이들은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자 4자 협의체를 구성해 첫 회의를 진행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에 따른 외환시장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논의의 장을 열었다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첫 회의에서는 특히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외환시장 수급의 변동성을 줄이는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졌다. 최근 기축통화로의 집중투자 및 변동성 눌림 전략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환헤지 전략이 적극적으로 검토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으며, 이를 통한 외환 변동성 완화가 기대된다.
그러나 국민연금을 외환 안정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이는 국민의 노후자산을 외환시장 안정이라는 목적에 과도하게 활용할 경우, 자산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협의체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정재은 기자
news1@gokorea.kr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