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 이후 중국과 일본 간의 긴장감이 고조됐다. 연합뉴스
중국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 이후 중국과 일본 간의 긴장감이 고조됐다. 연합뉴스

[공감신문] 허은영 기자=중국의 무력 개입 가능성을 언급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 이후 중국과 일본 간의 긴장감이 고조됐다. 그러나 중국 내 전문가들은 양국이 일정 수준의 협력을 지속하며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4일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자오추 상하이 국방전략연구소 부소장은 "중국이 일본에 대한 언사는 강경하지만, 실제 강력한 조치는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일 관계에 있어서 정치적 손상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협력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양국 간의 갈등은 동중국해 가스전 분쟁과 센카쿠 열도 영유권 분쟁을 포함한 과거의 예를 통해 볼 때, 어느 한쪽이 굴복한 적이 없으며 상황이 진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평가하고 있다. 자오 부소장은 "싸우되 찢어지지 않는 상태"라며, 쌍방 모두 관계를 단절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다른 중일 관계 학자는 "중국은 강경 발언을 지속하겠지만, 사태의 수습은 어려움 없이 이루어질 것이며, 외교 협상을 통해 타협점을 찾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제했다.

천양 랴오닝대 일본연구센터 객원연구원은 중국 신경보와의 대담에서, 단기적으로 중일이 높은 신뢰는 아니더라도 제한적인 타협 아래 공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일본이 약간의 완화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본질적인 오류 수정까지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또한 중일 관계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냉각된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으며, 기업들은 정책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신중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도체와 신에너지 분야 등에서는 신규 협력이 상당히 축소될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해관계 충돌과 낮은 신뢰도가 향후 중일 관계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사한 충돌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다. 자오 부소장은 일본을 세계적 영향력을 지닌 강대국으로, 중국은 초강대국으로서 서로의 구조적 모순을 지적하고 있다. 천 연구원은 양국 간 실질적 협력이 어려울 것이며, 정치적 신뢰 수준도 낮은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