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허은영 기자=중국과 일본 간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의 군사 활동이 서해 중부와 남부에 이어 북부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24일, 중국 해사국 웹사이트에 따르면, 랴오닝성 다롄 해사국은 보하이 해협과 서해 북부 일부 해역에서 군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며 23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선박 등의 출입을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랴오닝성 후루다오 해사국 역시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보하이 일부 해역의 출입을 군사훈련을 이유로 금지한 바 있다. 이같은 조치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중국군의 서해상 군사훈련의 연장선상에 있다. 장쑤성 옌청 해사국은 17일에서 19일 동안 서해 중부 일부 해역에서 실탄 사격 훈련으로 항행 경고를 발령했고, 장쑤성 롄윈강 해사국도 서해 남부에서 18일부터 25일까지 사격 훈련을 알렸다.
중국의 세 번째 항공모함인 푸젠함은 서해에서 첫 해상 실전 훈련을 완료했다는 소식이나오기도 했다. 홍콩의 한 매체는 중국의 서해 중부 훈련이 한중 배타적경제수역(EEZ)과 가까워 전략적 민감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군은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쟁 대비태세를 과시하고 있으며, 로켓군이 공개한 영상은 대만 유사시 일본군함 등에 대응할 미사일 전력을 강조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지난 9월 전승절 때 공개된 개량형 고체 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 둥펑-61과 액체 연료 ICBM DF-5C의 등장으로 주목받았다.
이러한 군사적 움직임은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중의원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발언한 이후 중일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강력한 발언을 통해 일본의 발언에 맞서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당국은 관광 제한과 같은 경제 제재 조치를 포함하여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