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보 현황 및 내일 예상 강수지역 분포도 (사진= 기상청 제공)
특보 현황 및 내일 예상 강수지역 분포도 (사진= 기상청 제공)

[공감신문] 최선은 기자= 밤사이 전국 곳곳에 비 또는 눈이 예보된 가운데, 중부 내륙과 강원 산지를 중심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온 하락과 함께 바람도 강하게 불며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기상청은 27일 오전부터 밤사이 전국 대부분 지역에 가끔 비가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강원 북부 내륙과 산지, 전북 동부의 높은 산지, 경북 북동 산지, 제주도 산지에는 눈이 섞여 내릴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예상 강수량은 서울·인천·경기와 서해5도, 강원 내륙·산지에 5~20mm, 충청권과 전라권, 경상권 대부분 지역은 5mm 안팎이다. 제주도와 강원 동해안, 울릉도·독도도 5mm 미만의 강수가 예상된다.

강원 산지에는 3~8cm, 전북 동부 산지에는 최대 5cm, 제주도 산지에는 1cm 안팎의 눈이 쌓일 가능성이 있다. 강원 북부 내륙과 경북 북동 산지 등에는 지역별 기온과 고도 차이에 따라 적설량과 강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온은 27일까지 평년 수준을 유지하겠지만, 28일에는 전국적으로 기온이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28일 아침 수도권과 강원 내륙·산지, 충남 지역은 전날보다 5~7도 가량 기온이 떨어질 것으로 예보됐다. 이로 인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져 춥게 느껴질 수 있다.

26일 낮 최고기온은 9~16도, 27일 아침 최저기온은 0~8도, 낮 최고기온은 8~16도 수준이다. 28일 아침은 -5~5도, 낮은 6~12도에 머물 전망이다.

내륙 곳곳에는 서리와 얼음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경기 북부와 강원 내륙, 경상 내륙을 포함해 전국 내륙 지역은 27일과 28일 아침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며 빙판길이 나타날 수 있다.

하늘 상태는 26일 오전까지 전국이 흐리다가 차차 맑아질 것으로 보이며, 경상권은 대체로 맑겠다. 27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다가 늦은 오후부터 구름이 많아지고, 28일은 전국이 맑겠으나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오전까지 구름 많을 것으로 보인다.

27일 강수 시간대는 오전 6시부터 낮 12시 사이에 시작해 오후 늦게 대부분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동반되거나, 싸락우박이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됐다.

비 또는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가시거리가 짧아지고 도로가 미끄러울 수 있다. 특히 26일과 28일 새벽부터 아침 사이에는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빙판길과 도로 살얼음이 나타날 수 있어 교통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낙엽이나 쓰레기 등으로 배수구가 막히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해상과 해안 지역도 긴장을 늦추기 어렵다. 27일 오전부터 중부 서해안과 전라 해안, 제주도, 오후부터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북동 산지에는 순간풍속이 시속 70km 이상(산지 최대 90km)에 달하는 강풍이 불 가능성이 있다.

서해 먼바다와 남해 먼바다, 제주 해상, 동해상은 27일 새벽부터 바람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최고 4m 이상으로 높게 일 전망이다. 동해 중부 바깥 먼바다와 동해 남부 북쪽 바깥 먼바다는 28일 새벽 사이 최대 5m 이상의 물결이 예보됐다. 이에 따라 풍랑특보가 발효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26일과 27일 새벽까지, 그리고 28일 오후부터는 동해안을 중심으로 너울성 파도가 백사장까지 강하게 밀려올 수 있어 해안가 안전사고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안개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26일 오전 9시까지 경기 내륙과 강원 내륙·산지, 경북 내륙에는 가시거리 1k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낄 가능성이 있다. 특히 강이나 호수, 계곡 인접 도로는 더욱 짙게 끼는 곳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지역은 지면에 안개가 얼어 도로가 미끄럽게 변할 수 있다.

날씨는 29일까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겠지만, 29일 밤부터는 수도권과 강원 영서 북부를 중심으로 다시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이 날 아침 기온은 -3~4도, 낮 기온은 10~17도로 예상된다.

26일은 중국 상하이 부근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날씨가 이어졌고, 27일은 발해만 부근의 저기압 영향권에 들었다가 차차 벗어나겠다. 28일과 29일은 다시 상하이 부근 고기압 영향권에 들겠지만, 29일 밤 수도권과 강원 영서는 북쪽 기압골의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