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신문] 전지선 기자=온라인 전자 상거래를 뜻하는 이커머스(Ecommerce).

상품 홍보가 서툴렀던 판매자들에게 이커머스 입점은 간절했다. 이번 ‘티메프 사태’가 터지기 전까진 말이다.

티메프 사태란, 큐텐 계열사인 티몬과 위메프가 판매자 대금을 지급하지 않고 지난 22일 대금 정산 무기한 지연을 선언, 판매자가 구매 완료한 상품을 일괄 취소하며 소비자 역시 환불금을 돌려받지 못한 사태다.

이커머스는 판매자와 소비자를 잇는 매개체를 자처하며 등장했다. 판매자에게 입점 수수료나 상위 노출에 대한 광고료로 이득을 취하는 구조다. 2021년, 국내 이커머스들은 신규 입점 판매수수료 환급 정책을 펼치는 등 수많은 판매자들을 입점시켰다.

‘가맹비 없음’, ‘광고비 지원’ 등 오프라인 프랜차이즈 창업 홍보와 비슷하다. 그런데, ‘월 매출 000원’이라는 홍보를 그대로 믿고 창업한 가맹점주들에게 막상 매출이 떨어지니 대안도 주지 않고 ‘나몰라라’하는 프랜차이즈 갑질이 현재 이커머스에서 비슷하게 재현되니, 판매자들의 속은 썩어 문드러지고 있다는 실정.

“환불을 못 받은 소비자들에게는 미안하고, 판매자는 뒷전입니까? 5월부터 정산받지 못해서 주먹구구식으로 이어가고 있었는데, 입점할 때는 간이고 쓸개고 다 빼주는 것처럼 굴더니, 막상 일이 터지고 보니 우리가 2순위였습니다. 배신감이 큽니다.”

티메프 사태 이후 해당 이커머스(티몬, 위메프)에 입점해 닭가슴살 제품을 판매하던 A씨 역시 대금을 정산받지 못한 상태에서 ‘판매자 문의글’에 올라온 소비자들의 하소연에 되려 사과하고 있는 처지라고 전했다. 특히, 대금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소비자들에게 현장에서 환불해줬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원망스러웠다고.

티몬과 위메프는 구매 후 최대 60일이 지나면 판매자에게 구매대금을 정산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계열사 상품권을 팔아 고객 돈으로 ‘돌려막기’ 악순환을 이어가다가 무너진 것이다.

이에 판매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사태로 국내 타 이커머스의 정산 주기가 짧아지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해외 이커머스인 아마존과 알리바바는 7일 이내에 정산되기 때문. 국내 이커머스 중에서는 지마켓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정산 주기가 3일 내로 짧은데 이 주기에 다른 국내 이커머스들도 맞춰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30일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시장이 잘 돌아가게 하기 위해 각 부처에서 시장 질서를 저해하는 활동을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며 구체적으로 금융당국을 향해 “집단적 대규모 외상거래도 금유엥 해당하므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이 같은 제도개선 방안 검토 소식에 불안한 판매자들은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했다.

현재 티메프 사태는 ‘ing’다. 티몬과 위메프는 전날 기업회생을 신청한 상태다. 만일, 회생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파산을 피할 수 없다. 정부에서는 이번 사태로 인한 줄줄이 부도를 막기 위해 5,600억원의 금융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판매 대금을 받지 못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긴급영영안정자금 대출을 통해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됐다.

다만, 향후 판매자들의 판매노선이 변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이커머스에 대한 셀러들(판매자)의 신뢰가 바닥을 치고 있다. 일부 이커머스에서 발생한 사태지만, 결국 본질적인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하면 입점을 취소하거나 입점을 고려할 시 더욱 깐깐하게 조건을 살필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동안 일부 이커머스에서는 판매자들을 선별해 입점시키는 곳도 있었는데 아예 그 관계가 역전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태로 인해 상품 노출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었던 이커머스가, 판매자들에게 칼이 되어 등에 꽂힌 격이다.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의 계열사 이커머스 뿐만 아니라 국내 이커머스의 대대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공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