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전지선 기자=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의 응급실 상황에 대해 "어려움이 있지만, 진료 유지는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 장관은 2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응급실 운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최선을 다해 의료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응급실의 문제를 진료 후 이어지는 배후 진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는 의료계의 집단행동 이전부터 존재하던 문제로, 의료 개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조의 집단행동 문제는 대부분 해결됐고, 코로나19 환자도 감소 추세에 있다"며 정부의 대응 노력을 설명했다.
그러나 권역센터에서는 병상 축소와 전문의 이탈 등 위험 요인이 존재함을 인정하면서도, 정부는 응급의료 체계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응급실 관련 수가 인상이 해결책이 아니라는 현장의 지적에 대해 "맞는 말씀"이라며 수용하면서도, 의사 부족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 파견, 일반의 채용 시 인건비 지원 등 다양한 조처를 통해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비상진료 대응을 위해 매일 브리핑을 열어 응급실 관련 사안을 안내할 계획이다. 조 장관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응급실 내원 환자가 급증할 가능성에 대비해, 4,000여 개의 동네 병의원이 문을 열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환자들에게 응급실을 더 중증인 환자에게 양보하고, 동네 병의원을 먼저 찾아줄 것을 당부했다.
조 장관은 자신과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을 경질해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더 열심히 하라는 의미로 듣겠다"며 의료 개혁을 반드시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또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제안한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에 대해서는 "수용 불가"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조 장관은 "의대 증원 유예는 의사 인력 수급 균형을 늦추고,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확충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의료계가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경우, 논의할 의사는 있음을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