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전지선 기자=최근 일주일 사이 전국 응급의료센터의 중증·응급질환 진료 역량이 급격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응급 상황 개선을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응급실의 인력난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을 통해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중증·응급질환 진료 가능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이달 5일 기준으로 27개 중증·응급질환을 진료할 수 있는 병원은 88곳에 불과했다.
이는 평상시인 올해 2월 첫째 주의 109곳에서 약 20%가 감소한 수치다. 불과 일주일 전인 8월 29일에도 102곳이었으나, 그 사이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특히 성인 대상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 가능 병원 수는 5일 현재 60곳으로, 평시 109곳 대비 45% 급감했다. 일주일 전에는 100곳이었으나, 일주일 만에 40%가 감소한 것이다. 중증 화상 진료를 할 수 있는 병원은 평시 44곳에서 28곳으로 줄었고, 안과 응급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도 75곳에서 47곳으로 감소했다.
사지 접합 수술이 가능한 응급의료센터 역시 82곳에서 62곳으로 줄어들었으며, 전반적으로 중증 환자 진료 역량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앞서, 응급실 상황이 악화되자 정부는 군의관을 병원에 파견했으나, 실질적인 응급실 운영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세종충남대병원의 경우, 파견된 군의관들이 응급의학과 전문의임에도 불구하고 진료가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복귀한 상태다.
복지부는 군의관 파견 외에도 응급실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해 수가 인상과 인건비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전공의 이탈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응급실에 전담 의사 인건비 지원을 논의 중이며, 권역외상센터나 소아전문응급센터 의사 인건비 지원액인 1억 원 수준의 지원책이 마련될 가능성이 크다.
중증 질환을 다룰 수 있는 응급의료센터가 줄어들면서, 다가오는 추석 연휴에는 환자 수가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화상 환자는 평소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증 화상을 다룰 수 있는 병원이 크게 줄어들어 응급 상황 대처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며, 추가적인 인력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