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신문] 전지선 기자=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병원들이 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 섭외를 요청하는 구급대의 요청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4일 소방청에 따르면, 올해 2월부터 8월 25일까지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 이송을 요청한 건수가 1,197건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519건에 비해 131%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증가세는 병원들이 응급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환자를 위한 병원 섭외에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소방청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119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수행한 업무에서 병원 이송 섭외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4.1%로, 지난해의 1.8%에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대국민 병·의원 안내 서비스의 비중도 지난해 41.8%에서 올해 44%로 2.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급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병원이 증가하면서 병원 섭외 및 안내 업무가 더욱 중요해졌음을 반영한 결과이다.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는 구급대의 요청이 있을 때,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여 중증·응급환자를 권역응급의료센터나 대형병원으로, 경증·비응급환자는 지역 응급의료기관이나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병원을 선정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구급대가 직접 병원을 섭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응급처치를 하면서 병원을 찾는 데 따른 업무 부담이 크다는 지적에 따라, 소방청은 올해 2월부터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응급실 의료진 부족이 이어지면서, 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병원이 늘어나는 상황도 구급상황관리센터의 병원 섭외 요청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10일까지 구급대가 네 차례 환자를 재이송한 사례가 17건으로, 지난해 전체 16건을 이미 초과했다. 두 차례 재이송된 사례도 78건으로, 지난해 1년간의 기록인 84건에 근접했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 동안 119 신고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상황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추석 연휴 동안 전국에서 접수된 119 신고 건수는 일평균 4만 2,731건으로, 평소 하루 평균 신고 건수인 3만 2,753건보다 1만 건 이상 많았다. 이 중 병·의원 및 약국 안내, 응급처치 등 안내 요청이 전체의 38.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구급 출동 요청이 20.8%로 뒤를 이었다.
한편, 소방청 관계자는 "정부가 경증 환자들의 응급실 이용 자제를 적극적으로 홍보한 덕분에 119 구급대의 출동 건수와 이송 인원이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2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119 구급대의 출동 건수와 이송 건수, 이송 인원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감소한 상태를 보였다. 출동 건수는 6만 5,005건으로 전년 대비 3.6% 감소했고, 이송 건수와 이송 인원 역시 각각 8.3%, 5.3% 감소했다.
